술 먹은 다음 날이면
속도 쓰리고
목도 엄청 마르고
머리도 띵해서 지끈거리고
' 하... 다시는 술 안 마셔야지...' 하면서도
또 술자리가 생기면
죽어라 마셔라 하게 되는 날 들의 반복....
개인적인 약속도 있고
회식처럼 일 때문에
피할 수도 없는 술자리들도 있죠.
숙취해소제를 챙겨 먹어도
감당이 안될 때에는
아침은 거르고 점심을 아주 맛깔나는
해장음식으로 하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숙취와 해장, 그리고 해장음식들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숙취 宿醉 Hangover
숙취는 알콜 성분이 체내에서 대사작용이 일어나면서 발생되는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성분이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아마 검색으로 이런 내용까지 찾아보실 분들이라면
어지간한 애주가분들일거고
그렇다면 이 이름을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거에요.
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지 못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증상이 숙취인데요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갈증, 구토, 두통, 속쓰림 등이 있습니다.
알콜의 섭취로 인해
수분도 많이 빠져나가게 되고,
탄수화물, 나트륨, 칼륨 등의 대사가
느려지면서 이런 요소들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2. 주류
술의 종류에 따라서 숙취의 정도가 많이 달라진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막걸리를 마셨을 때 유독 숙취가 심한 경우가 많은데요
곡주의 경우에는
알콜 도수가 그리 세지 않은 주종이 많지만
당이 높아서 심한 숙취를 유발합니다.
술 종류 중에서는
소주를 비롯한 보드카, 진, 사케 등이
숙취가 덜한 주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스키, 와인 등은
숙취가 심한 종류라고 하니
신경쓰시면서 즐기시면 좋겠네요!
3. 해장
우리나라의 많은 분들이
해장을 하기 위해서
얼큰한 국밥이나 뼈다귀해장국, 짬뽕 같은 음식을 찾으시는데요
술 때문에 많이 지친
위와 장, 간 등에는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한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즐겨먹는 해장음식으로
치즈라면을 자주 해먹습니다.
뚝딱 하기도 좋고 재료도 간편하니깐요!
매콥한 국물과 함께
치즈의 고소한 맛이 좋아서
부담스럽지 않게 즐기기 괜찮으면서도
해장에 좋은 느낌이 들더라구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해장 음식들을 한번 살펴볼게요.
1. 콩나물국
한식 중의 해장으로는 언제나 No.1으로 꼽히는 콩나물국은
콩나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알콜로 체내에 생긴 독소들을 없애는데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사포닌'이라는 성분은 간을 보호하고 영양을 보충해주는데에
큰 역할을 해주면서
해장에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음식으로 유명합니다.
콩나물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른 나라에서도
해장음식으로 사랑받는 식재료라고 하네요.
2. 곰탕, 돼지국밥
곰탕은 몸에 좋은 다양한 단백질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체내에 남아 있는 알콜을 분해하면서
숙취에 도움을 줍니다.
음주로 인해 갈증이 심할 때
수분 보충을 하기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3. 우거지 뼈해장국
우거지는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열을 내려주는 효과도 있어서
술로 인해 몸에 쌓인 내열을 다스리는데에도
효과가 좋다고 하네요!
뼈해장국의 고기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다양한 필수 미네랄 성분이 많고,
돼지고기에 많이 포함되어있다고 유명한
비타민 B1이 있어서
우거지와 함께 속풀이에 좋은 효능을 낸답니다.
이 외에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기 위해 물을 많이 마셔주시면 좋고,
가정에 기본 아이템이라 할 수 있는
계란, 우유, 꿀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계란과 우유를 이용한
스크램블 에그나 오믈렛을 즐겨 먹습니다.
다른 음식들로는
충분한 철분과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스테이크,
다양한 채소와 계란을 포함하면서
탄수화물도 충분히 챙길 수 있는
샌드위치나 토스트,
서양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토마토를 이용한
토마토소스 피자나 토마토 소고기 스튜,
숙주와 고기가 듬뿍 들어가고
시원한 국물도 즐길 수 있는 쌀국수,
치즈와 고기, 갖가지 채소들로 간단히 끓여낸 수프 등이
있습니다.
술과 숙취, 해장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정확하게 알고
건강한 음주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상식 정보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화칼슘의 사용법과 주의점 제대로 알고 쓰세요!! (0) | 2023.07.11 |
---|---|
우리나라 24절기는 언제고 무엇일까?? - 24절기 (0) | 2023.07.09 |
다양한 파스타 소스의 종류는? < 크림소스 > (0) | 2023.06.28 |
다양한 파스타 소스의 종류는? <토마토소스> (0) | 2023.06.26 |
여름철 벌레퇴치용 식물이나 화분 키워보시는건 어떠세요?? (0) | 2023.06.23 |
댓글